010_0424_a_01L
경암집鏡巖集
경암집 서鏡巖集序
지난겨울 경암 응윤鏡巖應允 대사의 뛰어난 제자인 팔관 상인八關上人이 와서 스님의 편지를 전했는데, 편지에 이르기를 “저는 곧 죽을 것인데 문도들이 한두 가지 거친 시문을 모아서 추파秋波 선사의 유집에 붙이려고 합니다. 아마도 어느 날 죽게 되면 금지하지 못할 것 같으니, 바라건대 붓으로 한 구절 내려 주시어 분수에 넘치는 일을 끊어 주십시오.”라고 하였다. 나는 한창 약초에 관심이 있어서 사양하고 우선 훗날을 기다리기로 했다.
팔관 상인이 이제 또 와서 말하기를 “경암 스님이 정월 상순에 방장산方丈山1)방장산方丈山 : 지리산의 이칭. 벽송암碧松菴에서 시적示寂하시고 열반하여 떠나셨으니 탑을 세우기를 도모합니다.”라고 하여, 서로 마주 보고 눈물을 흘렸다. 이윽고 또 영찬影贊과 문집의 서문을 간청하였다.
나는 경암 스님과 문자로 방외의 교유를 의탁한 지 30년이 되었으니 어찌 노쇠하다고 하여 사양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나는 선문의 지결旨訣을 알지 못하니 스님의 조예는 내가 말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우리 유학의 실천하는 공부에 준해 보면 스님은 진실로 인륜에 독실한 분이다. 대저 사제는 군신·부자의 인륜에 끼지 않지만 생삼사일生三事一2)생삼사일生三事一 : 부모·스승·임금을 한결같이 섬김을 이르는 말이다. 진晉나라 대부 난공자欒共子가 말하기를, “백성은 부모·스승·임금 밑에서 사는지라 섬기기를 한결같이 한다.(民生於三。 事之如一。)”라고 하였다. 『國語』 「晉語」.의 의리는 옛 성현이 가르치고 행하던 바이니 도리어 그 높고 무거움이 어떠한가? 세상 사람이 이 도를 멸시하고 버린 지 오래다. 혹자는 말하기를 “경사의 구두만을 전습할 뿐이니 제자라 이를 수 있겠는가?”라고 하고, 혹자는 말하기를 “과거科擧의 문자만 가르칠 뿐이니 스승이라 이를 수 있겠는가?”라고 한다. 심지어는 등을 돌려 배척하고 무기를 잡아서 공격하여 초나라, 월나라보다 더 심한 지경에 이르니, 이는 다른 까닭이 없고 다만 이해를 따져 진퇴하는 데에 미혹되었을 뿐이다.
경암 스님은 총명하고 바르고 자상한 자태로 일찍 추파 대사의 장실丈室에 들어가 일심으로 귀의하여 종신토록 섬기었다. 두루 내전內典을 궁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