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서명 |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 |
|---|
간략정보| 책명 |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 |
|---|---|
| 권수제 | 大慧普覺禪師書 |
| 표제 | 書狀 |
| 이제 | |
| 서제 | |
| 판심제 | 書 / 揀病論 |
| 자료구분 | 고서 |
|---|---|
| 주제분류 | 중국찬술-선서 |
| 저역자 | 宗杲(宋) 著 ; 慧然(宋) 錄 ; 黃文昌(宋) 重編 |
|---|
| 판종 | 木板本 |
|---|---|
| 저본 |
| 발행지 | 全羅道 長興 天冠山 |
|---|---|
| 발행자 | 천관사(天冠寺) |
| 발행년 | 1568年(宣祖 1) |
| 장정 | 線裝 |
|---|---|
| 권사항 | |
| 장수 | 120張(大慧普覺禪師書: 張次 第1-114장(右)張 / 發: 張次 第114(右)-115張 / 施主秩: 張次 第116張 / 狗子無佛性話揀病論: 張次 第1-4張) |
| 결락중복 | |
| 도표 |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 광곽종류 | 半郭 |
| 광곽크기 | 19.6×14.3 |
| 계선 | 無界 |
| 행자수 | 10行17字 |
| 주표기 | 欄外書 |
| 판구 | 白口(下花口('衍'字 등 陰刻) 混入) |
| 어미 | 無魚尾(內向2葉花紋魚尾 混入) |
| 책크기 | 31.3×19.3 |
| 서문 | |
|---|---|
| 발문 | 大慧禪師說法四十餘年…採集別爲後錄 文昌 謹白...乾道二年歲次丙戌(1166)八月勅賜徑山妙喜菴刊行 / 宗名儒...洪武二十年丁卯(1387)十月日...李穡 跋 / 同願 王謹妃 嘉靖十年辛卯(1531)之春...書于濟州上將在家居士高根孫 |
| 간기 | 跋末: 隆慶二年戊辰(1568)夏全羅道長興地天冠山天冠寺開板 |
| 간행질 | 跋末: 施主秩 英林 등 다수, 鍊板 性仁, 供養主 性斤, 化士 雪俊 叔相, 刻手 性通 등 4명 |
| 기타판각인명정보 | 欄外下段: 全希 등 다수 |
| 인출유통묵서기 | 뒤표지내면: 順治十三年(1656)四月日 施主 九和兩主, 施主 重鉄兩主 |
| 지질 | 楮紙 |
|---|---|
| 표지첨기 | |
| 합본사항 | 合本 |
| 현토표점방점 | 墨書懸吐 |
| 인장 | |
| 주기상세 | 1. 合本: 狗子無佛性話揀病論(慧諶(高麗) 著) 2. 간기(狗子無佛性話揀病論末): 崇禎四年壬申(1632)夏刊于天冠寺 3. 간행질(狗子無佛性話揀病論末): 刻子 智緝, 募緣 虛悟比丘, 山人齊一書 4. 揷紙: '世界起始...' 등 言數不定11行 墨書(20.9×24.7) |
| 내용주기 | |
| 형태주기 |
| 소장자 | 김자현 |
|---|---|
| 소재처 | |
| 소재처관리번호 | 6025→6022 |
| 한국불교전서 | 구자무불성화간병론(狗子無佛性話揀病論) H0080 |
|---|
| - |
|---|
| 이력과정 | 四集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