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서명 |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說誼) |
|---|
간략정보| 책명 |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說誼) |
|---|---|
| 권수제 | 金剛般若波羅蜜經 |
| 표제 | 般若經 |
| 이제 | |
| 서제 |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序說 / 曹溪六祖禪師序 / 豫章沙門宗鏡提頌綱要序 |
| 판심제 | 金剛經序 / 金剛經 |
| 자료구분 | 고서 |
|---|---|
| 주제분류 | 경장-반야부 |
| 저역자 | 鳩摩羅什(姚秦) 譯 ; 傅大士(梁) 贊 頌 ; 慧能(唐) 口訣 ; 宗密(唐) 纂要 ; 川老(宋) 頌 ; 宗鏡(宋) 提綱 ; 己和(朝鮮) 說誼 |
|---|
| 판종 | 木板本 |
|---|---|
| 저본 |
| 발행지 | 慶尙道 蔚山 圓寂山 |
|---|---|
| 발행자 | 운흥사(雲興寺) |
| 발행년 | 1681年(肅宗 7) |
| 장정 | 線裝 |
|---|---|
| 권사항 | 卷上 |
| 장수 | 137張(變相: 1張 /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序說: 張次 第1-6(右)張 / 曹溪六祖禪師序: 張次 第6(右)-9(右)張 / 豫章沙門宗鏡提頌綱要序: 張次 第9(右)-10張 / 卷上: 張次 第1-126張) |
| 결락중복 | |
| 도표 | 變相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 광곽종류 | 半郭 |
| 광곽크기 | 26.9×18.6 |
| 계선 | 有界 |
| 행자수 | 9行 大字14字 小字雙行19字 低1字中字18字 低1字小字雙行18字 |
| 주표기 | 註雙行 |
| 판구 | 白口 |
| 어미 | 內向黑魚尾(內向1, 2葉花紋魚尾, 下魚尾 '十月' 등 陰刻 混入) |
| 책크기 | 36.0×24.6 |
| 서문 |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序說...永樂乙未(1415)六月日涵虛堂衲守伊盥手焚香謹序 / 曹溪六祖禪師序: 夫金剛經者 無相爲宗 ... / 豫章沙門宗鏡提頌綱要序: 觀夫空如來藏... |
|---|---|
| 발문 | |
| 간기 | 末冊: 康熙二十年辛酉(1681)四月日慶尚道蔚山圓寂山雲興寺刊 |
| 간행질 | 卷上末: 大德 義林 등 다수, 浮板施主 智日比丘 印天比丘 曾永民兩主, 供養施主 李終山保体 등 다수, 時執綱 信淨, 直舍 粹元, 首僧 隱惠, 書記 普仁. 三寶 釋奇, 刻手秩 覺雲 등 다수, 木手 處衍, 供養主 思現 曇式, 負木 玉坦, 別座 尙玄, 化主 學熏 |
| 기타판각인명정보 | 變相下段: 演熙刀 / 欄外下段: 印天 등 다수 |
| 인출유통묵서기 |
| 지질 | 楮紙 |
|---|---|
| 표지첨기 | 上(表題下), 共六(表題下) / 南長寺(右下) |
| 합본사항 | |
| 현토표점방점 | 墨書懸吐 |
| 인장 | 一耘(앞표지 1개 외 다수, 사각朱印, 1.2×1.2) / 金龍寺檢印(앞속지 1개, 序說 1개, 원형朱印, 3.5) / 南長寺印(序說 1개, 사각朱印, 4.6×4.6) |
| 주기상세 | 1. 책의 겉면을 종이로 덧씌우고 표제 위치에 '般若經' 묵서 2. 包角: 붉은색 |
| 내용주기 | |
| 형태주기 |
| 소장자 | 불영사 |
|---|---|
| 소재처 | |
| 소재처관리번호 |
| 한국불교전서 |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說誼) H0114 |
|---|
| - |
|---|
| 이력과정 | 四集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