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서명 |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
|---|
간략정보| 책명 |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
|---|---|
| 권수제 | 看話決疑論 |
| 표제 | 無(표지없음) |
| 이제 | |
| 서제 | |
| 판심제 | 論 / 揀 / 訣 / 因 |
| 자료구분 | 고서 |
|---|---|
| 주제분류 | 한국찬술-선서 |
| 저역자 | 知訥(高麗) 述 |
|---|
| 판종 | 木板本 |
|---|---|
| 저본 |
| 발행지 | 慶尙道 聞慶 淸華山 |
|---|---|
| 발행자 | 원적사(圓寂寺) |
| 발행년 | 1609年(光海 1) |
| 장정 | 假綴 |
|---|---|
| 권사항 | |
| 장수 | 46張(看話決疑論: 張次 第1-14張 / 狗子無佛性話揀病論: 張次 第1-4張 / 禪宗唯心訣: 張次 第1-16張 / 念佛因由經: 張次 第1-13(右)張) |
| 결락중복 | 念佛因由經: 張次 第8張(1張 缺落) |
| 도표 |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 광곽종류 | 半郭 |
| 광곽크기 | 16.9×12.0 |
| 계선 | 無界 |
| 행자수 | 10行20字 |
| 주표기 | |
| 판구 | 白口 |
| 어미 | 內向2葉花紋魚尾(內向3葉花紋魚尾, 內向黑魚尾 混入) |
| 책크기 | 22.5×14.6 |
| 서문 | |
|---|---|
| 발문 | 看話決疑論末: 噫...時貞祐三年乙亥(1215)五月日無衣子慧諶跋 |
| 간기 | 看話決疑論末: 萬曆三十七年己酉(1609)四月日慶尙道聞慶地淸華山圓寂寺開板 / 狗子無佛性話揀病論末: 萬曆三十七秊己酉(1609)季春日 / 禪宗唯心訣末: 萬曆三十七年己酉(1609)四月日慶尙道聞慶地淸華山圓寂寺開板 |
| 간행질 | 看話決疑論末: 布施大施主 春月, 供養施主 羅近必 羅近山 九月, 化士 申應毫 / 禪宗唯心訣末: 布施施主 仅今玉只 등 5명, 供養施主 金貴卜 등 5명, 大大化士 申應毫 |
| 기타판각인명정보 | 版心下段: 洽? |
| 인출유통묵서기 |
| 지질 | 楮紙 |
|---|---|
| 표지첨기 | |
| 합본사항 | 合本: 看話決疑論, 狗子無佛性話揀病論(慧諶), 禪宗唯心訣(延壽), 念佛因由經 |
| 현토표점방점 | 墨書懸吐 |
| 인장 | ?林宜?(冊首 1개, 사각朱印, 2.0×2.0) |
| 주기상세 | 1. 揷紙(23.8×5.9): '上之十九年乙卯(1795)...閔昌爀盥手謹書 此冊皆抄於敬信錄中 壬辰仲春念七日全元實直中書', 정조대 관료 여흥 민씨의 閔昌爀과 관련된 기록으로 보임 2. 狗子無佛性話揀病論 張次 第2, 3張 순서 바뀜 |
| 내용주기 | |
| 형태주기 |
| 소장자 | 옥천사 |
|---|---|
| 소재처 | |
| 소재처관리번호 |
| 한국불교전서 |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H0071 |
|---|
| - |
|---|
| 이력과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