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반야바라밀경삼가해설의언해서(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序)
제목정보
-
| 대표서명 |
금강반야바라밀경삼가해설의언해서(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序) |
금강반야바라밀경삼가해설의언해서(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序)

간략정보
-
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序 /
鳩摩羅什(後秦) 譯 ; 冶父(宋) ; 宗鏡 提綱 ; 己和(朝鮮) 說誼 ; 學祖(朝鮮) 重校.
-- 金屬活字本(大字丁丑字中小字乙亥字) --
[不明] :
[不明],
[1482年(成宗 13)].
-
13張,
,
四周單邊
半郭
27.2×20.0 cm ,
有界,
11行21字,
白口,
內向黑魚尾 ;
37.9×25.0 cm.
-
소장자 : 동국대 중앙도서관
제목정보
-
| 책명 |
금강반야바라밀경삼가해설의언해서(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序) |
| 권수제 |
|
| 표제 |
金剛般若波羅蜜經 一(題簽) |
| 이제 |
|
| 서제 |
金剛般若波羅蜜經序 |
| 판심제 |
金剛經三家解涵序 |
분류정보
-
저자정보
-
| 저역자 |
鳩摩羅什(後秦) 譯 ; 冶父(宋) ; 宗鏡 提綱 ; 己和(朝鮮) 說誼 ; 學祖(朝鮮) 重校
|
판사항
-
발행정보
-
| 발행지 |
[不明]
|
| 발행자 |
[不明]
|
| 발행년 |
[1482年(成宗 13)]
|
형태정보
-
| 장정 |
線裝 |
| 권사항 |
|
| 장수 |
13張 |
| 결락중복 |
제13張 이하 결락 |
| 도표 |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 광곽종류 |
半郭 |
| 광곽크기 |
27.2×20.0 |
| 계선 |
有界 |
| 행자수 |
11行21字 |
| 주표기 |
註雙行 |
| 판구 |
白口 |
| 어미 |
內向黑魚尾 |
| 책크기 |
37.9×25.0 |
기록정보
-
| 서문 |
序: 金剛般若波羅密經序(涵虛 序說) |
| 발문 |
|
| 간기 |
|
| 간행질 |
|
| 기타판각인명정보 |
|
| 인출유통묵서기 |
표지내: '步出夏門東' 등 묵서기재 |
주기정보
-
| 지질 |
楮紙 |
| 표지첨기 |
|
| 합본사항 |
|
| 현토표점방점 |
|
| 인장 |
동국대학교도서관장서지장(권수, 사각朱印, 5.0*5.0) |
| 주기상세 |
1. 國漢文混用 2. 缺張(서문): 제13張 이하 缺落 3. 經題: 金剛般若波羅密經 / 金剛經三家解 |
| 내용주기 |
|
| 형태주기 |
|
소장정보
-
| 소장자 |
동국대 중앙도서관 |
| 소재처 |
|
| 소재처관리번호 |
213.13 금11ㅂ12 v.1 // D16190 |
연계정보
-
출처정보
-
참고정보
-
금강반야바라밀경삼가해설의언해(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

간략정보
-
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 /
鳩摩羅什(後秦) 譯 ; 冶父(宋) ; 宗鏡 提綱 ; 己和(朝鮮) 說誼 ; 學祖(朝鮮) 重校.
-- 金屬活字本(大字丁丑字中小字乙亥字) --
[不明] :
[不明],
[1482年(成宗 13)].
-
14張,
,
四周單邊
半郭
27.0×20.0 cm ,
有界,
11行21字,
白口,
內向黑魚尾 ;
39.2×25.2 cm.
-
소장자 : 동국대 중앙도서관
제목정보
-
| 책명 |
금강반야바라밀경삼가해설의언해(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 |
| 권수제 |
|
| 표제 |
|
| 이제 |
|
| 서제 |
|
| 판심제 |
金剛經三家解 |
분류정보
-
저자정보
-
| 저역자 |
鳩摩羅什(後秦) 譯 ; 冶父(宋) ; 宗鏡 提綱 ; 己和(朝鮮) 說誼 ; 學祖(朝鮮) 重校
|
판사항
-
발행정보
-
| 발행지 |
[不明]
|
| 발행자 |
[不明]
|
| 발행년 |
[1482年(成宗 13)]
|
형태정보
-
| 장정 |
線裝 |
| 권사항 |
|
| 장수 |
14張 |
| 결락중복 |
제1-12張, 제26張 이하 결락 |
| 도표 |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 광곽종류 |
半郭 |
| 광곽크기 |
27.0×20.0 |
| 계선 |
有界 |
| 행자수 |
11行21字 |
| 주표기 |
註雙行 |
| 판구 |
白口 |
| 어미 |
內向黑魚尾 |
| 책크기 |
39.2×25.2 |
기록정보
-
| 서문 |
|
| 발문 |
|
| 간기 |
|
| 간행질 |
|
| 기타판각인명정보 |
|
| 인출유통묵서기 |
표지내: '桐峯' 등 묵서기재 |
주기정보
-
| 지질 |
楮紙 |
| 표지첨기 |
|
| 합본사항 |
|
| 현토표점방점 |
|
| 인장 |
동국대학교도서관장서지장(권수, 사각朱印, 5.0*5.0) |
| 주기상세 |
1. 國漢文混用 2. 缺張: 제1-12張, 26張 이하 缺落 3. 經題: 金剛般若波羅密經 / 金剛經三家解 4. 내용: 法會因由分第一 |
| 내용주기 |
|
| 형태주기 |
|
소장정보
-
| 소장자 |
동국대 중앙도서관 |
| 소재처 |
|
| 소재처관리번호 |
213.13 금11ㅂ12 v.2 // D16191 |
연계정보
-
출처정보
-
참고정보
-
금강반야바라밀경삼가해설의언해(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

간략정보
-
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 /
鳩摩羅什(後秦) 譯 ; 冶父(宋) ; 宗鏡 提綱 ; 己和(朝鮮) 說誼 ; 學祖(朝鮮) 重校.
-- 金屬活字本(大字丁丑字中小字乙亥字) --
[不明] :
[不明],
[1482年(成宗 13)].
-
卷5,
,
四周單邊
半郭
27.1×19.7 cm ,
有界,
11行21字,
白口,
內向黑魚尾 ;
39.0×25.2 cm.
-
소장자 : 동국대 중앙도서관
제목정보
-
| 책명 |
금강반야바라밀경삼가해설의언해(金剛般若波羅蜜經三家解說誼諺解) |
| 권수제 |
金剛般若波羅蜜經 |
| 표제 |
金剛般若波羅蜜經 六(題簽) |
| 이제 |
|
| 서제 |
|
| 판심제 |
金剛經三家解 |
분류정보
-
저자정보
-
| 저역자 |
鳩摩羅什(後秦) 譯 ; 冶父(宋) ; 宗鏡 提綱 ; 己和(朝鮮) 說誼 ; 學祖(朝鮮) 重校
|
판사항
-
발행정보
-
| 발행지 |
[不明]
|
| 발행자 |
[不明]
|
| 발행년 |
[1482年(成宗 13)]
|
형태정보
-
| 장정 |
線裝 |
| 권사항 |
卷5 |
| 장수 |
60張 |
| 결락중복 |
|
| 도표 |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 광곽종류 |
半郭 |
| 광곽크기 |
27.1×19.7 |
| 계선 |
有界 |
| 행자수 |
11行21字 |
| 주표기 |
註雙行 |
| 판구 |
白口 |
| 어미 |
內向黑魚尾 |
| 책크기 |
39.0×25.2 |
기록정보
-
| 서문 |
|
| 발문 |
太歲壬寅(1482)孟秋中浣...晋山姜希孟(朝鮮)奉敎謹跋 |
| 간기 |
|
| 간행질 |
|
| 기타판각인명정보 |
|
| 인출유통묵서기 |
|
주기정보
-
| 지질 |
楮紙 |
| 표지첨기 |
|
| 합본사항 |
|
| 현토표점방점 |
|
| 인장 |
동국대학교도서관장서지장(권수, 사각朱印, 5.0*5.0) / 판독불가(사각朱印, 5.4*3.8) |
| 주기상세 |
1. 國漢文混用 2. 經題: 金剛般若波羅密經 || 金剛經三家解 3. 내용: 金剛經三家解, 得通決疑, 跋文 |
| 내용주기 |
|
| 형태주기 |
|
소장정보
-
| 소장자 |
동국대 중앙도서관 |
| 소재처 |
|
| 소재처관리번호 |
213.13 금11ㅂ12 v.6 // D16192 |
연계정보
-
출처정보
-
참고정보
-